시민제안

  1. 제안접수
    2023.10.25.
  2. 제안검토완료
    2023.10.25.
  3. 50공감 마감
    2023.11.24.
  4. 부서검토
  5. 부서답변
    - 요청전

프랑스 파리처럼 서울시에서 전동 킥보드 퇴출해 주세요.

스크랩 공유

. 2023.10.25.

시민의견   : 5

정책분류교통

1. 헬맷 착용 의무화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이에 대한 대책 역시 없습니다.

2. 2인 탑승 금지 역시 지켜지지 않습니다.

3. 도보로 통행 금지임에도 지켜지지 않습니다.

4. 교통 약자를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되었지만, 킥보드 대여 비용은 이미 현실 비용을 넘어섰습니다.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이동수단인지 알 수 없습니다.

5. 인도에 주차되어 도보 통행에 방해일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통행하는 아이들에게 사고의 위험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사업에 대한 이익은 전부 사기업이 취하고, 위험 부담과 견인에 따른 비용 등은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점은 역겨울 정도입니다.

7. 망할 사업이면 망하면 그만입니다. 그럼에도 망하지 않기 위해 자신들이 지어야 할 비용과 부담을 이용자에게 부과하고, 위험부담은 시민에게 전가하고 있습니다. 왜 사기업이 이득을 취하는 데에 시민이 불편함을 참아야 하는 건가요? 우리에게 공짜로 타라고 해도 고민할까 말까인데. 돈 내고 타면서도 욕은 욕대로 먹고, 비용은 비용대로 지불하고. 비합리적인 사업에 대한 철수를 요청합니다.

8. 면허 없는 사람도 탑니다. 이게 말이 됩니까?

9. 킥보드 사업과 서울시 간의 우호적인 관계가 있는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2019년부터 킥보드 사업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끊이지 않고 현재 2023년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나아지는 것은 없었습니다.

10. 전동 킥보드를 키워드로 검색만 해도 117개의 의견이 있고, 그중에 전동 킥보드 퇴출에 대한 요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서울시는 유명무실한 조례나 만들고 있으니. 전동 킥보드 사업체와 서울시 간의 관계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법안 조례를 마련하면 뭐합니까? 지켜지지 않는데?

안 지킨 것들에 대해 범칙금 부과하면 뭐합니까? 그 범칙금 시민한테 다 부여하는데 말이죠.

면허 없을 어린 학생들도 버젓이 2인승으로 타고 다닙니다.
아이들이 철이 없다고, 잘 몰라서 그런다고 그러지 못하게 어른이 잘 교육해야 한다?
아이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어른들의 잘못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쓰레기 같은 킥보드 사업을 허가한 서울시의 책임이고, 그런 서울시의 시의원, 시장 등을 선출한 투표권 있는 어른들의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임질 수 없는 조례 그만 만드시고.
킥보드 사업 철수시켜 주세요.

사고 예방이 중요하지 사고 처리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얼마전에 승합차와 전동 킥보드 사고 영상을 보고 충격이었습니다.
탑승자는 어린 학생들이었어요.
교복을 입은 아이들의 시신을 치우는 게 맞는 겁니까 전동 킥보드를 치우는 게 맞는 겁니까.

이에 대해 공감하실 분들은 많을 겁니다.

전동 킥보드 퇴출해 주세요.
공감 버튼 공감
전체인원50 공감수12


비공감 버튼 비공감
전체인원50 비공감수0

투표기간 2023.10.25. ~ 2023.11.24.

이 글에서 새로운 제안이 떠오르셨나요?

유사 제안 바로하기
상상대로 서울 서울시 웹접근성 품질인증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특별시청 2층

대표전화 02-120 / 상상대로 서울 홈페이지 시스템 문의: 02-2133-6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