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안접수
2021.11.12. - 제안검토완료
2021.11.12. - 50공감 마감
2021.12.12. - 부서검토
2021.12.12. - 부서답변
- 결재완료
서울 내 민간미술관 일일자유이용권을 만들어주세요.
스크랩 공유홍 * * 2021.11.12.
시민의견 : 9
정책분류문화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에 학교를 다니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서울시 내 민간미술관을 하루 내에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민간미술관 일일자유이용권을 제안하고 싶어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서울시 내 민간미술관 일일자유이용권 제작>
1. 현황 및 문제점
- 관광상품으로서 많은 가능성을 지닌 것이 바로 종로구 내 수많은 미술관입니다. 특히 종로구에서는 국립. 시립 미술관을 제외하고 수많은 개인. 사립 미술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림미술관, 석파정 서울미술관, 자하미술관, 아트스페이스, 영도미술관, 김종영미술관, 변종하미술관 등 여러 미술관이 있고 실제로 현재에도 미술관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인기있는 곳입니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첫째, 현재 종로구 내 개인. 사립 미술관은 20여 곳이며 각각의 미술관은 개별적인 입장료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개인.사립 미술관인 사정 상 서울시 내 주요 구립. 시립. 국립 미술관에 비해서 공간의 크기, 작품의 수, 교통접근성, 도슨트설명 등과 같은 기타서비스 등 여러요소가 뒤처지는 상황입니다. 더군다나 시립. 국립. 구립 미술관은 가격이 0원에서 3000원미만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감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종로구 내 개인.사립 미술관의 입장료는 평균적으로 성인1인 기준 7000-13000원선으로 책정되어 작품의 수가 적은 미술관으로서 약간의 작품을 감상했더니 이미 다 둘러본 터라 나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즉, 작품을 보는데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끝나곤 하는 것입니다. 다른 미술관을 둘러보자니 해당 미술관의 입장료 역시 지불해야하는 상황이라 경제적 이유로 미술관 1곳만 둘러보고 집으로 가게 됩니다. 이처럼 종로구 내 다양한 개입. 사립 미술관이 위치해있으나 서로 개별적으로 가격을 책정해 소비자들입장에서는 여러 곳을 즐기지 못하고 일정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둘째, 종로구 내 개인.사립 미술관은 교통접근성이 좋지 않습니다. 실제로 토탈미술관을 가장 가까운 경복궁역에서 도보로 출발하면 1시간19분이 소요되는 등 부암동. 평창동 쪽 미술관은 마을버스 혹은 자차로 이동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교통접근성이 좋지 않은 것에 각각의 미술관이 개별적 가격을 받고있어 많은 예술소비자들이 방문하기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셋째, 종로구 내 개인. 사립 미술관들을 통해 상권활성을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국역 근처에는 탑골미술관, 아라리오뮤지엄인스페이스, 학아재미술관, 돈화문갤러리 광화문역 근처에는 세화미술관, 일민미술관 부암동 근처에는 석파정 서울미술관, 평창동 근처에는 영도미술관, 아트스페이스퀼리아, 토탈미술관, 김종영미술관 등 종로구 내에서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술관 근처에는 맛집, 카페 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안국역과 광화문역, 경복궁역 근처는 도보로 접근성이 있어 다행히 서촌거리 등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도보로 이동하기 어려운 부암동, 후암동, 평창동 쪽은 상권이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울 내 흔치않은 한적하고 고즈넉한 여유로운 분위기를 띄는 동네인만큼 충분한 소비자로서의 매력을 띄는 곳이지만 그것이 전부인 상황이다. 결국은 해당 지역으로 오게끔 할 매력적인 관광아이템이 있어야합니다. 여러 미술관이 위치하고 있지만 미술관을 즐기는데 1시간도 채 걸리지 않고 여러 미술관을 당일에 즐기자니 경제적지출이 커 많은 시민들의 발걸음을 유도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2.제안 내용
<서울시 미술관 all-pass 티켓>
1) 의의
- 서울시 내 위치한 다양한 개인.사립 미술관을 ALL-PASS 티켓을 통해 자유이용권처럼 추가금액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미술관 관광티켓
2) 제안내용
(1) 3.6.9 ALL-PASS티켓
- 미술관을 즐기는 유형은 다양합니다. 하나의 작품마다 깊은 생각과 성찰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작품을 본 나의 생각과 얼마나 일치하고 다른지 비교하면서 재미를 찾는 유형을 첫째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은 하나의 미술관을 살펴보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이러한 유형의 소비자들은 장시간동안 자유롭게 종로구 내 개인. 사립미술관을 이용할 수 있는 9시간 ALL-PASS를 선호할 것입니다.
- 두 번째 유형은 작품을 감상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 소비자, 기타일정이 있어 제한된 시간 내에 다양한 미술관을 즐기고 다른 일정을 소화하는 소비자, 재정적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율을 내고싶어하는 합리적 경제관 소비자들을 위한 티켓입니다. 바로 3시간ALL-PASS 티켓입니다. 미술감상에 장시간을 쓸수는 없지만 약간의 시간이라도 감상을 하고 싶은 소비자들은 해당 티켓을 통해 만족감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세 번째 유형은 6시간 ALL-PASS티켓입니다. 해당 티켓의 기대소비자는 2,30대 연인층이 주 고객일 것입니다. 미술관 감상을 하면서 중간에 주변 상권 맛집 및 카페를 이용해 여유를 즐기는 데이트고객층이 주 대상 될 것이다. 연속적으로 미술관을 즐기고싶지만 중간에 적정히 주변 지역도 즐기고싶은 고객층은 해당 티켓구매를 통해 만족감을 고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서울시, 종로구청, 개인미술관이 위치한 각 구청의 주도 하 개인.사립미술관의 협력공동체-거버넌스 기구 상설화
- 기존 서울시 내에 있는 구립. 시립. 국립 미술관은 행정청의 내부규칙으로 언제든지 협력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개인. 사립 미술관은 이러한 협력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어느 누군가가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는 한 각각의 가격정책을 고수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서울시, 종로구청은 주도적으로 진행하에 개인. 사립미술관의 3.6.9 ALL-DAY 패스 티켓정책을 논의하고 통과시킬 수 있게 논의의 장을 마련해주어야합니다. 3.6.9 ALL-DAY 패스 티켓정책을 논의하는 기구를 상설화하여 주기적으로 소통내용을 공유해 매달 셋째주의 문화의 날, 구청 내 문화복지상품으로서의 논의 등 다양한 문화관련 논의를 하여 구청 내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이 글에서 새로운 제안이 떠오르셨나요?
유사 제안 바로하기